[신간] 화장품이 궁금한 너에게

김승한 기자 승인 2019.06.24 15:06 | 최종 수정 2020.06.25 13:26 의견 0

화장품도 첫 단추가 중요하다!
호기심 많은 10대를 위한, 과학적인 화장품 가이드

전 세계적으로 화장품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우리나라에서는 ‘화장품 전 성분 표시제’를 도입하는 주요한 계기였던 책 <나 없이 화장품 사러 가지 마라>의 번역가 최지현이 청소년에게 화장품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 책을 국내에 소개하면서 화장품과 미용 산업을 본격적으로 탐구해 온 최지현은 이후 10년 넘게 ‘화장품 비평가’로 활동하면서 올바른 화장품 정보를 알리는 일에 앞장서 왔다. 이번 책 <화장품이 궁금한 너에게>는 최지현의 첫 단독 저서로 화장품에 조금씩 관심을 갖기 시작하는 청소년들에게 과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화장품의 역할과 쓰임을 정확히 알리는 책이다. 자신을 탐색하고 싶은 10대들의 마음을 십분 응원하면서, 비싼 가격, 인터넷에 떠도는 과장되고 왜곡된 정보, 화려한 마케팅 앞에 주눅 들지 않고 똑똑하게 화장품을 활용할 수 있게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시행착오 없는 시작을 위해,?청소년이 알아야 할 화장품의 모든 것

한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13~17세 여자 청소년들의 색조 화장 이용률은 약 75%에 이른다. 또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여러 조사에서 토너와 로션의 사용률이 90% 안팎으로 나온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기초 화장품은 물론 색조 화장품도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꼭 통계를 참고하지 않더라도 주변에서 립글로스나 파우더를 바른 청소년들을 만나기는 어렵지 않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기업의 마케팅도 전에 없이 활발하다.

저자는 이런 청소년들이 현명하게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앞 세대가 겪었던 시행착오를 반복하지 않도록 화장품에 대해 알아야 할 가장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지식들을 전한다. 화장품은 물과 기름에, 피부에 이로운 물질을 섞어 놓은 것이라는 아주 상식적인 정의를 통해 화장품의 역할 범위를 설명한 뒤 쿠션, 컨실러, 코렉터 등 복잡하게 나뉘어 있는 메이크업 제품들을 분류하고 성분을 알려 준다. 한방 화장품, 약국 화장품, 남성용 화장품 등은 일반 화장품과 어떻게 같고 다른지 그 허와 실을 꼼꼼히 살피는 한편, 화장품의 사용 기한과 화장 도구의 청결한 사용법도 조언한다. 청소년들의 대표적인 피부 고민인 여드름은 어떻게 관리하고 어떤 화장품을 써야 할지에 대해서도 따로 공들여 설명했다.

과학적 상식으로?화장품 불량 정보를 파헤치다

화장품에 대한 올바른 상식과 지식을 알리는 것은 곧 화장품에 관한 불량 정보들을 바로잡는 일이기도 하다. 화장품에 관한 과장되거나 왜곡된 정보들, 엉터리 정보들이 적잖이 유통되고 있기 때문이다. 화장품 광고가 대체로 ‘순수’, ‘힐링’ 등 감성적인 언어 일색으로 정확한 정보를 주지 않는 경우가 많은 데다, 화장품의 기본이 되는 화학 산업에 대한 대중의 무지와 불안이 적지 않은 탓이다. 화장품의 위험성을 과장함으로써 이익을 얻으려는 사람들도 있다.

<화장품이 궁금한 너에게>에서 저자 최지현은 화장품에 관한 대표적인 불량 정보들을 과학적 사실들을 토대로 하나씩 분석해 나간다. 위해성과 유해성을 구분함으로써 화장품의 특정 성분에 대한 과도한 공포를 가라앉히는 한편, 천연과 합성의 이분법을 해체하고, 유기농과 특허에 대한 불필요한 기대를 줄인다. 또 화장품에 들어가는 색소의 기준이 어떻게 세워지고 관리되는지를 알림으로써 막연한 불안에서 벗어나 편안하게 화장품을 대할 수 있게 돕는다. 미국, 호주, 독일 등 다양한 나라에서 제시된 통계와 연구 결과들이 저자의 분석에 힘을 실어 준다.

화장은 자아를 돌보는 행위이자,?새로운 나를 발견하는 강력한 도구

화장하는 청소년이 적지 않음에도 여전히 이들을 바라보는 시선은 곱지만은 않다. 저자 최지현은 이런 어른들의 상투적인 우려를 넘어서 화장에 대한 청소년들의 관심을 적극 지지한다. 화장은 단지 예뻐 보이려는 허영이나 욕망의 산물이 아니라 ‘자아를 돌보는 행위’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특히 청소년기는 분주히 자신을 탐구하고 자아상을 만들어 가는 시기이므로 자꾸 거울을 들여다보는 것이 당연하다. <화장품이 궁금한 너에게>는 화장품에 대한 과도한 기대나 불필요한 두려움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자신을 탐구하면서 건강한 자아상을 정립할 수 있도록 돕는다.

화장품이 궁금한 너에게(최지현 지음 / 창비 출판)
화장품이 궁금한 너에게(최지현 지음 / 창비 출판)

목차
머리말 평생 도움이 될 건강한 화장품 지식

1부 화장품의 정체는 뭘까?
1. 화장품 없이 살 수 있을까?
2. 화장품은 100% 화학 제품
3. 화장품의 역할은 어디까지일까?
4. 이 분야에서는 누가 일하고 있을까?
5. 가격은 어떻게 결정될까?

2부 메이크업 제품, 똑똑하게 쓰기
1. 우리가 색조 화장을 하는 이유
2. 메이크업 성분은 독하다?
3. 다른 듯 비슷한 제품들, 성분과 원리
4. 립스틱을 먹어도 괜찮을까?
5. 화장을 지우는 것이 중요한 이유
6. 화장품을 친구와 같이 쓴다면?
7. 사용 기한에 깐깐해지자

3부 화장품 마케팅의 오묘한 언어들
1. 많이 바를수록 좋을까?
2. ‘천연’은 안전하고 ‘합성’은 위험하다?
3. ‘유기농’ 제품의 허무한 진실
4. ‘한방’ 화장품, ‘발효’ 화장품은 뭐가 다를까?
5. ‘기능성’ 화장품은 기능이 뛰어날까?
6. 단 하나의 기적의 성분이 있을까?
7. ‘첨단 과학 화장품’이 피부를 바꿀 수 있을까?

4부 상식과 진실 사이, 틈이 있다
1. 남자는 남자 화장품만 써야 할까?
2. 약국 화장품은 더 전문적일까?
3. ‘특허받은 비밀’에 숨은 뜻은?
4. 과학적 증거는 얼마나 과학적일까?
5. 동물 실험, 어떻게 봐야 할까?

5부 일상 속 대표적인 피부 고민들
1. 비누로 씻을까, 폼 클렌저로 씻을까?
2. ‘이중 세안’은 필수일까?
3. 자외선 차단제, 날마다 꼭 발라야 하나?
4. 화장품 때문에 비타민 D가 부족해
5. 화장품이 여드름을 치료할 수 있을까?
6. 여드름 관리에 도움이 되는 제품들
7. 여드름에는 어떤 메이크업이 좋을까?

6부 화장품 안전에 대한 걱정과 오해
1. 착한 화장품과 나쁜 화장품을 가릴 수 있을까?
2. 실험실 물고기는 왜 죽었을까?
3. 화장품 속 발암 물질, 어떻게 이해할까?
4. 알레르기 유발 물질은 억울해
5. 부작용이 생겼을 때는 어떻게?
6. 화장품이 몸속에 축적된다?
7. 성분표를 읽을 줄 알아야 할까?

맺는말 화장품 이해에 필요한 다섯 가지 과학적 태도
감사의 말

저자소개

저자 : 최지현
화장품 비평가. 작가 겸 번역가. <뉴스위크> 한국어판 번역 위원을 지냈다. 2004년과 2008년에 두 차례 폴라 비가운의 <나 없이 화장품 사러 가지 마라>를 번역하면서 화장품과 미용 산업에 눈을 떴다. 이후 화장품 비평가로 활동하면서 <헬스경향>, <한겨레> 등의 매체와 개인 블로그를 통해 과학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화장품의 기능과 쓰임을 정확히 알리고 있다. 특히 불안과 공포를 조성하는 화장품 불량 정보를 바로잡는 일과, 정보를 분별할 줄 아는 과학 독해력의 중요성을 알리는 일에 힘쓰고 있다. 지은 책으로 <나나의 네버엔딩 스토리>(공저), <명품 피부를 망치는 42가지 진실>(공저) 등이, 옮긴 책으로 <하루 30분 혼자 읽기의 힘>, <아무것도 못 버리는 사람> 등이 있다.

저자의 말

우리의 화장품 소비는 죽을 때까지 계속됩니다. 화장품은 우리 삶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필수품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첫 단추가 중요합니다. 화장품을 막 접하는 지금부터 건강한 인식을 정립해 두어야 합니다. 지나친 환상, 부질없는 기대를 버리고, 우리가 화장품에서 취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이고 한계는 무엇인지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그러지 않으면 위 세대가 겪었던 수많은 시행착오를 똑같이 겪으며 많은 돈과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할지도 모릅니다.

아울러 화장품의 안전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각종 정보들, 악성 루머와 괴담에 대해서도 알 필요가 있습니다. 화장품은 화학 산업이 만들어 내는 화학 제품입니다. 화학 물질 공포증, 이른바 ‘케모포비아’(chemophobia)가 커지면서 화장품 속 성분에 대한 공포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공포를 만들어 내는 정보들의 상당수가 화학 물질에 대한 잘못된 신념, 혹은 과학에 대한 무지에서 나오는 ‘불량 정보’입니다. 불량 정보가 왜, 누구에 의해 만들어지고 어떤 유형이 있는지 알게 되면 정보를 판단하는 눈이 생깁니다. 또 불량 정보를 가려내려 노력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사고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저작권자 ⓒ 리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