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련을 극복하는 공부법

김용훈 승인 2018.10.11 11:47 | 최종 수정 2020.08.11 14:46 의견 0

누구나 희로애락을 겪으며 인생의 단맛 쓴맛을 모두 맛보며 산다. 인생이 기쁜 일들로만 채워지면 좋겠지만 불교에서 ‘인생은 고해(苦海)’라 했던가. 근심 걱정과 병들고 외롭고 힘들고 수고롭고 고통스러운 일이 더 많다고 느껴지는 것은 왜일까.

특히 힘들고 실패할 때마다 우리는 하늘을 원망하고 주변을 원망하고 왜 나한테만 이런 일이 일어나는가 하고 깊은 좌절과 고민에 빠지기도 한다. 이러한 물음에 맹자의 고자하편에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그러므로 하늘이 장차 이 사람에게 큰 임무를 내리려 하실 적에는 반드시 먼저 그 심지를 괴롭게 하며 그 근골을 수고롭게 하며 그 체부를 굶주리게 하며 그 몸을 궁핍하게 하여 행함에 그 하고자 하는 바를 어지럽고 실패하게 하니, 이것은 마음을 분발시키고 성질을 참게 하여 그 능하지 못한 바를 더욱더 잘하게 하려는 것이다.

天將降大任於是人也 必先苦其心志 勞其筋骨 餓其體膚 空乏其身 行拂亂其所爲 所以動心忍性 曾益其所不能.

이렇듯 시련이 닥쳤을 때는 환경과 하늘을 원망할 게 아니라 하느님께서 나에게 큰 임무를 맡기기 위해 나를 더욱더 참게하고 공부시켜서 장차 바르게 쓰시기 위함을 알아야 한다.

즉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모두 하늘이 준 시험과 깨달음의 메시지로 받아들여야 한다. 그래서 옛 성현들은 매일 반성하고 성찰하며 이를 통해 깨달은 것을 키워나가는 함양공부를 했다.

또한 모든 문제는 자기로부터 시작된다. ‘반구저기(反求諸己: 돌이켜 자신에게서 찾는다)’다. 맹자 이루상편에는 “행하고서 얻지 못함이 있거든 모두 자신에게 돌이켜 찾아야 하니, 그 몸이 바루어 지면 천하가 돌아오는 것이다(行有不得者 皆反求諸己 其身正而天下歸之).”라고 했다.

어떤 일이 잘못됐을 때 남을 탓하지 않고 잘못된 원인을 자기 자신에게서 찾아 반성하고 고쳐 나간다는 의미다. 나에게 어려움이 닥쳤을 때 그것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공부로 받아들여야 하지만 부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주변을 원망한다면 더 큰 업이 돼 나에게 더 큰 시련으로 다가올 것이다.

그렇다면 그 시련을 극복할 방법은 무엇일까. 마음공부를 통해 분별력을 키워 미리 알고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먼저 내 몸을 바르게 하는 것이다. 소학에는 ‘구사구용(九思九容)’이라는 말이 나온다. ‘구사(九思)’는 논어 계씨편에 나오는 말로 ‘군자가 지켜야 할 아홉 가지 올바른 생각’을 뜻하고 예기에 나오는 ‘구용(九容)’은 ‘아홉 가지의 올바른 태도’를 가리킨다.

구용(九容)

족용중(足容重) - 발의 모양은 무겁게 한다.
수용공(手容恭) - 손의 모양은 공손하게 한다.
목용단(目容端) - 눈의 모양은 단정하게 한다.
구용지(口容止) - 입의 모양은 그친다.
성용정(聲容靜) - 소리의 모양은 고요하게 해야 한다.
두용직(頭容直) - 머리 모양은 곧게 한다.
기용숙(氣容肅) - 숨 쉬는 모양은 엄숙하게 한다.
입용덕(立容德) - 서 있는 모양은 덕스럽게 한다.
색용장(色容莊) - 얼굴 모양은 장엄하게 해야 한다.

구사(九思)

시사명(視思明) - 사물을 볼 때는 밝게 보기를 생각한다.
청사총(聽思聰) - 들을 때에는 밝게 들을 것을 생각한다.
색사온(色思溫) - 얼굴빛은 온화하게 갖기를 생각한다.
모사공(貌思恭) - 모습은 공손하기를 생각한다.
언사충(言思忠) - 말을 할 때는 진실함을 생각해야 한다.
사사경(事思敬) - 일에 있어서는 공경함을 생각해야 한다.
의사문(疑思問) - 의심나는 것은 물을 것을 생각한다.
분사난(忿思難) - 분할 적에는 어려움을 생각한다.
견득사의(見得思義) - 얻는 것을 보면 의로운 것인가를 생각한다.

이렇게 먼저 내 몸을 바르게 한다면 자연스럽게 생각함도 바르게 돼 마음과 영혼이 맑아져 더 이상 사특한 마음과 좋지 않은 일들이 끼어들 여지가 없다. 그다음 해법은 평소에 활인적덕을 많이 하고 죄를 짓지 말아야 한다.

주역에서는 “적선지가 필유여경, 불적선지가 필유여앙(積善之家 必有餘慶, 不積善之家 必有餘殃).”이라고 했다. 즉 내가 평소에 덕을 쌓고 보시를 많이 한다면 반드시 좋은 일로 돌아올 것이고, 평소에 나쁜 짓을 많이 한다면 반드시 재앙이 돼서 돌아온다는 말이다.

누구나 살면서 실수는 한다. 그러나 이것이 반복되지 않도록 매 순간 자신을 돌아보고 공부를 해야 실수를 반복하지 않을 수 있다. 명심보감 계선편에서는 착한 일과 나쁜 일을 행함을 다음과 같이 말한다.

하루에 선한 일을 행하면 복은 비록 이르지 아니하나 화(재앙)는 저절로 멀어질 것이요, 하루에 악한 일을 행하면 화는 비록 이르지 아니하나 복은 저절로 멀어질 것이다. 착한 일을 행하는 사람은 봄 동산의 풀과 같아서 그 자라나는 것은 보이지 않지만 날로 더해지는 것이 있고, 나쁜 일을 행하는 사람은 칼을 가는 돌과 같아서 닳아 없어지는 것은 보이지 않지만 날로 줄어드는 것이 있다.

一日行善 福雖未至 禍自遠矣 一日行惡 禍雖未至 福自遠矣 行善之人 如春園之草 不見其長 日有所增 行惡之人 如磨刀之石 不見其損 日有所虧.

인생이 언제나 내리막길만 있는 것은 아니다. 실수를 통해서든 원치 않는 불행이 찾아와 바닥을 쳤다면 다음은 올라갈 일만 남는다. 극즉반(極則反)이다. 그러므로 하늘이 준 시련을 감사하게 받아들이고 이것을 공부의 기회로 삼는다면 인생의 터닝 포인트는 반드시 올 것이다.

저작권자 ⓒ 리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