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실의 세대’와 ‘페미피아’, 영혼의 단짝으로 만나다 2

채서안 승인 2018.10.02 11:34 | 최종 수정 2021.09.17 12:49 의견 0

다른 집단·존재에 대한 악마화와 과잉해석·규정

지금까지 살펴보았던 계급만능론과 약자의 절대 신성화·나르시시즘·엘리트주의·교조주의 등은 이제 다양한 사회적 요인으로 움직여 나가기에 당연히 직면할 수밖에 없는 현실과의 괴리를 자신들 바깥의 문제로 합리화하며, 이들에 대한 극단적·적대적·공격적인 태도를 강화시키고 마침내는 ‘악마화’시키는 ‘과잉해석’에 빠져들게 한다.

진보 세력들은 자신들이 ‘상부 집단’으로 규정한 구성원들뿐만 아니라, 자신들의 목소리에 이의를 제기하는 이들 모두를 ‘반동’으로 몰아가며 그들의 모든 행위를 현재 사회 구조를 유지하려는 수단으로 해석한다.

‘페미피아’들 역시 남성들 및 자신들과 다른 견해를 제시하는 여성들의 행위를 모두 ‘여성혐오’와 ‘남성 중심 사회의 유지 수단’으로 이해한다. 이때 ‘악의 평범성’ 논의나 정신분석학·심리학 등 포스트모더니즘 담론을 통해 발전한 학문들은, 외부 구성원들이 어떻게 ‘악마’이며 왜 그들에게 문제가 있는지를 합리화시키는 전가의 보도로 오·남용된다.

이처럼 진보 세력과 ‘페미피아’들은 유사한 사고 구조를 갖기에 같은 목소리를 내기도 하는데(흥미롭게도 오늘날 이 두 세력은 자신들과 반대되는 목소리를 모두 ‘일베’로 묶어버리는 양상을 보여준다), ‘군대혐오’는 이 두 집단에서 발견되며 공유되는 대표적인 사례다.

The Korean national flags attached to Korean army uniforms
The Korean national flags attached to Korean army uniforms

대한민국에서 군대 경험한 사람치고 군대를 혐오하면 혐오했지 좋아하는 경우가 얼마나 많겠냐고 반론을 제기해 볼 수 있겠으나, 두 집단이 갖는 ‘군대 혐오’는 다른 구성원들의 그것과 내용이 다르다.

사회 구성원 대부분의 ‘군대혐오’는 정확하게는 ‘군대’라는 조직 안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와 여기에 ‘미래’를 저당 잡힌 데에 대한 혐오이며, 기본적으로 ‘군대’가 사회·구성원의 안전 도모라는 업무를 지니기에 나름의 긍정적 역할과 중요한 가치가 있음을 무시할 수 없다고 인식한다.

하지만 두 집단에 있어서 ‘군대’는 기본적으로 ‘폭력’의 우위를 활용해, ‘상부 집단’ 혹은 ‘남성’ 우위의 질서를 유지하고 ‘하부 집단’ 혹은 ‘여성’을 그에 순응하도록 옭아매는 조직화된 ‘악’의 집단이다.

진보 세력에게 ‘군대’라는 조직은 ‘만악의 근원’이다. 이들의 보기에 한국 사회 내부의 모든 문제들은 ‘군대’의 활동 양상을 사회 전반에 그대로 적용하여 구현했기에 발생한다.

‘군대’ 내에 ‘일제’ 및 ‘군부독재’ 관련 요소들이 발견된다는 사실과 종종 발생하는 여러 사건·사고들은, 이같은 진보 세력의 시각을 정당화해주는 만능 논거로 활용된다. 사회 내 모든 조직 문화가 군대에서 기인하지만은 않으며 각 활동의 성격에 따라 자연스레 형성된 부분도 존재한다는 사실과 ‘군대’ 내 사건·사고들이 조직의 특수성에 기인한 억제성·폐쇄성으로 인해 문제의 강도가 심화되어 나타난다는 점은, ‘진보 세력’에게 그다지 중요한 고려 대상이 아니다.

더군다나 군부는 과거 자신들을 탄압했던 이들을 배출했던 곳이자 오늘날에는 안보 문제를 내세워 자신들의 주장에 반대되는 정치적·정책적 입장을 내세우곤 하는 집단이기에, 진보 세력에게 더더욱 ‘악’의 집합소로 비추어질 수밖에 없다. 아이러니한 것은 중국이나 북한 등 자신들이 호의적으로 보는 집단의 군사 활동에 대해서는 그들 자신들의 ‘주체성’을 지키려는 정당한 행위로 예찬한다는 점이다.

‘페미피아’들에게도 ‘군대’는 ‘남성’이라는 ‘만악’의 총체적 집합소다. 이들은 ‘남성’은 ‘폭력’과 ‘야만’, ‘여성’은 ‘평화’라는 이분법적 도식을 갖고(정희진이 ‘여성학자’ 외에 자신을 내세우는 타이틀이 ‘평화학자’다. 이것이 단순히 우연일까), ‘군대’ 내에 들어간 ‘남성’들은 ‘폭력’이라는 자신들의 본성을 길러내 사회 밖으로 나와 그것들을 퍼뜨려 그들 자신의 우위를 보전하려 한다는 인식을 지닌다.

이들은 평소에 ‘여성’을 어떠한 모습으로도 규정짓지 말라고 하지만, 이처럼 자신들을 미화할 때는 그 같은 행위를 잘만 써먹는다.

이때 ‘군대’ 내에 남성들이 압도적으로 많다는 사실과 종종 발생하는 사건·사고들은 그 같은 자신들의 생각을 정당화하는 만능 논거로 활용된다. ‘여성’들의 조직 안에서도 그 형태는 달라도 나름의 폭력이 존재한다는 사실과 ‘군대’ 내부의 폭력은 그 조직의 특성에서 기인해 심화돼 나타나는 부분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이들에게 그다지 중요한 고려 대상이 아니다.

이처럼 ‘군대’를 부정적으로 규정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한국 군대에 한정하며 외국 군대는 오히려 예찬하는 ‘오리엔탈리즘’을 보여준다는 점이다(자신들을 ‘명예 백인’이라고 생각하니 어쩌면 당연한 태도일지도 모르겠다).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진보 세력과 ‘페미피아’의 이같은 ‘군대혐오’는 자연스럽게 군 복무자들에 대한 부정적 시각의 정당화로 이어진다. 이들에게 있어서 군 복무자들은 사정이 어찌됐든 ‘군대’라는 ‘만악’에 가담해 어떠한 형태로든 ‘악’에 기여·동참·지지한 ‘악의 평범성’의 구현자들이자 ‘잠재적 혹은 실질적 범죄자’들에 불과하다.

따라서 군 복무를 그다지 높게 평가할 이유는 없으며, 오히려 그들을 ‘공적·체계적이고 세련된 조직의 살인청부업자’로 대우해야 한다고 인식한다. 실제 진보 성향 종교인들이 ‘양심적’ 병역 거부 지지와 군종 제도 폐지 등을 주장하면서 드는 논거가 군대는 ‘살인’을 한다는 것이다. 이들은 그보다 ‘선’이며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자신들의 활동을 우선 지지하는 행위가 진정한 사회 정의를 구현하는 길이라고 인식한다.

그 과정에서 ‘가고 싶은 군대’는 이들 스스로가 보유한 ‘군대혐오’를 감추기 위한 기만 논리로 활용된다. 따라서 진보 세력이 군대 처우 개선이나 봉급 인상 등에 긍정적 태도를 보인다고 한들, 이는 ‘노동 환경 개선’의 범주에 속하지 군대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에 바탕을 둔 행위가 아니다.

진보 세력과 ‘페미피아’들의 이같은 모습은 임오군란 당시의 민씨 척족들이 보여준 구식 군대에 대한 시각과 별반 다르지 않다.

현실과 가상의 역전에 따른 자아와 타자의 ‘포르노화’

덧붙여 외부 구성원에 대한 ‘과잉해석’과 그 극단적인 형태인 ‘악마화’는 마침내 현실과 가상을 구분하지 못하고, 가상이야말로 ‘현실 위의 현실’이라는 인식 하에 여기에서 구현된 자극적인 존재 형태를 진정한 정체라고 믿으며, 현실상의 모든 행위를 가상을 기준으로 극단적으로 규정해나가는 ‘현실과 가상의 역전’ 상태에까지 이르게 한다.

‘페미피아’들의 ‘남성’에 대한 이해는 모든 사회적 규칙·금기를 넘을 정도로 성적 욕구를 우선시하는 장면을 보여주는 ‘포르노’의 그것에 가깝다.

이들은 ‘남성’들이 ‘포르노’를 보는 행위야말로, 그 세계관의 현실화를 모색하겠다는 의지가 담겨있음을 말해주는 증거라고 인식한다. 이때 정신분석학·심리학 등은 그 같은 자신들의 판단을 정당화하는 도구로 적극적으로 활용된다.

따라서 이들은 ‘남성’이라는 ‘악’의 발호를 사전에 막기 위해서는, 남성을 비롯한 모든 외부 구성원들의 행동 양상에 ‘기여’하는 사상·문화 등의 정신적 영역까지도 철저하게 검사·통제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리게 된다.

‘포르노’가 대부분 ‘남성’들에게 성적 욕구의 일시적 분출과 사회적 규칙·금기에 대한 일탈을 가상을 통해 맛보며 자신이 가진 현실상의 불만을 해소하고자 하는 수단에 불과할 뿐, 그 내용의 적용은 자신들을 둘러싼 현실과의 관계를 고려해 판단해야 할 별개의 사안이라고 인지한다는 점은 ‘페미피아’들에게 그다지 중요한 고려 대상이 아니다(더해 ‘남성 중심의 사회’라는 ‘페미피아’들의 기본 현실 인식을 따른다면, ‘포르노’가 깨는 사회적 규칙·금기 또한 ‘남성’들의 산물이 되는 모순에 직면한다는 사실도 이들에게 중요한 고려 대상이 아니다).

문제는 이러한 ‘페미피아’들의 사고방식이, ‘포르노’에 표현된 모습들을 그들의 본성이라고 믿으며 현실의 이성을 상대로 성적 문제를 일으키는 ‘포르노중독자’들의 그것과 별반 다르지 않다는 점이다.

이들에게 있어 ‘남성’에 대한 폭력은 오히려 그들의 ‘악’한 본성이 표출되었기에 발생한 행위이므로, 본성을 상기·충족시켜 준 ‘희생’을 ‘감내’한 자신들이 아닌 남성에게 모든 책임이 돌아가야 옳다(이 문장의 ‘남성’을 한 번 ‘여성’으로 바꾸어 보시라).

‘까칠남녀’에 출연한 이현재 교수
‘까칠남녀’에 출연한 이현재 교수

“‘로리타’는 죄악이지만 ‘쇼타’는 문제없다”는 ‘페미피아’들의 주장과 남성 아동에 대한 성폭력 옹호는, 이들이 ‘포르노’의 세계관을 거부한다는 주장과는 달리 실제로는 스스로를 ‘포르노화’하며 그것이 자신들의 본성이라고 인정하는 모순을 지니고 있음을 잘 드러내 준다.

‘페미피아’들의 이같은 모습은 후술하게 될 진보 세력의 문화 행위 인식에서도 찾아진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계속

저작권자 ⓒ 리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